의심처방 의사 응대의무화 법안
장향숙 의원실에서 낸 개정안입니다.
장향숙 의원실에서 낸 개정안입니다.
혁신·독창·개량·천연물·창조 접두어도 붙이기 나름
국내신약의 품목 수나 성과 자료는 어디에서 발표되느냐에 따라 엿가락 처럼 늘었다 줄었다한다. 과연 몇품목이 진품일까?
또 식약청과 신약개발조합, 산자부 등 정부와 관련단체가 신약에 붙이는 접두어도 혁신·독창·개량·천연물·창조에 한방까지 제각각이다. 신약강국을 꿈꾸고 있지만 개념정립이 여간 어렵지 않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약사법에 의거 신약으로 승인받은 제품은 최근 발암자료제출 조건부 허가를 받은 부광약품의 레보비르를 포함할 경우 11품목이다.
국내신약 1호인 SK제약의 선플라주(99)를 시작으로 △대웅제약 EGF외용액(01) △동화약품 밀리칸주(01) △중외제약 큐록신정(01) △엘지생명 팩티브정(02) △구주제약 아피톡신주(03) △CJ 슈도박신주(03) △종근당 캄토벨주(03) △유한양행 레바넥스정(05) △동아제약 자이데나정(05) △부광약품 레보비르(06) 등이 그것이다.
작년 상장제약사 매출액 比 연구개발비 5.3%
LG생명과학 29.4%·에스텍파마 19.7%·녹십자백신 17.2%
안명옥 의원 "정부 R&D 투자 유인책 마련 절실"
우리나라 55개 상장제약사의 연구개발비(R&D) 총액은 3387억원이며, 이는 전체 매출액(6조3826억원) 대비 5.3%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해 기준 미국 제약업체의 국내 매출액 대비 R&D비율(19.2%)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보건복지위 안명옥 의원(한나라당)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제출한 '상장 제약기업의 광고선전비 및 R&D 투자 규모'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권영길의원이 미국에서 가서 실사한 보고서입니다.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이 발표한 심평원과 공단의 의견을 받아서 낸 1조손실 자료입니다.
2006 건약 학술제
1부_약국에서 일어나는 메디케이션 에러와 의약품 안전성
2부_약국 종업원의 역할은 무엇인가.
2006년 10월 22일 낮12시
대한약사회 강당
심사적체 해소·신속한 허가결정 위해
앞으로 미국의 제네릭업계에도 유저피(user fees)가 부과될 수 있을 전망이다.
이 같은 언급은 18일 익명을 요구한 FDA의 한 고위급 관계자로부터 나온 것이어서 아니 땐 굴뚝에 피어오르는 연기가 아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저피'란 수익자 부담원칙에 따라 FDA가 신약의 허가 또는 적응증 확대 등을 심사할 때 소요되는 제반경비의 일정 몫(통상 51% 이상)을 허가신청서 제출자가 부담토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실제로 FDA는 이에 앞서 지난 2월 열린 제네릭의약품협회(GPhA) 연례총회에 참석했던 스코트 고트리브 부(副)커미셔너가 제네릭업계의 도약을 위한다는 취지에서 유저피 제도가 도입될 수 있을 것임을 강하게 시사한 바 있다.
물론 아직까지 이 문제와 관련한 FDA의 공식발표는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입니다.
[파이낸셜뉴스 2006-10-15 16:36]
보건복지부와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가 추진중인 민간의료보험 개정 추진에 대해 보험업계가 ‘민영의료보험’ 철수를 적극 검토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
1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민영의료보험법 제정을 강행할 경우 손보업계는 민영의료보험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하는 것을 강력히 검토중이며 생보업계도 실손보장형 민영의료보험 시장 진출을 거부할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현재 정부가 의원입법 형식을 빌려 추진중인 민영의료보험법 제정은 보험업계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독단적인 안”이라면서 “이같은 정부의 정책이 강행될 경우 보험업계는 고사될 것”이라면서 이같은 방침을 밝혔다.
현재 민영의료보험 상품은 전체 손해보험 시장의 약 12∼14%를 차지하고 있어 보험업계의 이같은 ‘초강수’가 현실화될 경우 특히 손보시장의 장기 침체가 예상된다.
유시민장관이 대통령과 국민에게 보고한 의료급여에 관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