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력 상류층일수록 '원정치료' 원한다


미국, 일본 순 선호… '악성 신생물' 환자 최다

고학력에 상류층일수록 중류층 이상에서 해외 원정치료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며 선호 국가로는 대부분이 미국을 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해외치료 검험자의 10명중 9명은 치료 경과에 만족했으며 이중 20.5%는 '악성 신생물(암)' 치료를 위해 외국행 비행기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서울대 보건대학원 국민보건연구소(책임연구자 김응익)가 지난 2001년 3월 병협에 제출한 '우리나라의 해외의료소비 실태 및 외화유출비용 조사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른 것이다.

당시 연구팀은 강남성모 고대 안암 서울삼성 등 서울소재 6개 병원 방문자 984명과 이들중 실제 해외치료 경험자 127명을 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벌여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해외치료에 대한 견해를 묻자 전체 응답자의 72.8%(713명)가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학력별로는 고졸(69.2%) 대학졸(82%) 대학원졸(88.4%)로 학력이 높을수록 높았다.

경제적 수준으로 보면 하류층 54.7%, 중류층 74.8%, 상류층 93.5%로 부유층에서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외치료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주변인중 만족한 사람이 많을수록 홰외진료에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중 84.2%가 '해외치료를 받아도 된다'고 했으며 그중 91.2%가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해외치료시 선호국가는 미국이 75.9%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다음으로 일본(9.3%) 중국(5.3%) 순이었다.

진료과별로는 거의 대부분이 미국을 선호한 가운데 내과 76.8%, 정형외과 81.8%, 신경정신과 및 혈액종양과 75% 암과 81.2%로 각각 나타났다.

해외진료 경험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에서 진단명별 해외치료 이용빈도는 '악성신생물'이 20.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신경계 및 감각기계 질환(12.6%) '순환기계 질환' '소화기계 질환' '근육-근골격계 질환'이 각각 10%로 뒤를 이었다.

해외치료를 위해 방문하는 국가를 보면 미국이 67%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일본(10.2%), 유럽(5.5%), 중국(3.9%)순이었다. 이밖에 러시아, 호주등도 소수 포함됐다.

국가별 처치 내용을 보면 내과적 진료가 미국(52.1%), 일본(41.2%), 중국(50%), 유럽(5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특히 미국과 일본에서는 수술이 25.2%와 35.3%를 각각 차지해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처치는 선진국 이미지가 강한 국가에서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치료기간은 전 국가에서 30일 이하가 대부분을 차지한 가운데 미국 '8~30일'이하가 41.2%로 높았으나 '31~90일'간 장기체류자도 14.1%나 됐다. 일본의 경우 '7일 이하가 53.8%였고 중국은 '7일 이하'가 80%로 가장 많았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질병양상이 급성전염성 질환에서 만성 퇴행성질환으로 변화됐음에도 불구하고 만성질환에 대처할 수 있은 의료기술과 체계 등이 부족하다는 점 환자들 사이에서 국내 의료기술이 선진국에 쳐진다는 인식이 팽배하다는 점 등이 해외치료를 부추기는 요인'이라며 '의료소비자의 해외유출은 국내의료시장 위축과 의료인의 사기를 떨어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해외 원정치료비 1인당 최고 15만달러
평균 외래진료비 7,157달러, 입원 3만2469달러

해외 원정치료 환자의 1인당 평균 외래진료비는 7,157달러며, 입원비용은 환자당 평균 3만 2,469 달러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중 일부 암 환자 등은 10만달러가 넘는 비용을 외국 병원에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1년 병원협회가 서울대 보건대학원 국민보건연구소(책임연구자 김응익)에 의뢰한 '우리나라의 해외의료소비 실태 및 외화유출비용 조사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연구팀은 당시 외화유출비용 조사를 위해 재미 한인 의사협회 등의 협조를 얻어 미국 유명병원에서 한국인 의사에 의해 치료를 받은 환자 157명(외래 66명, 입원 91명)의 자료를 수집 분석했다.

그 결과에 따르면 해외 치료비용은 외래의 경우 환자당 평균 7,157달러를 지불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최소 100달러에서 최고 9천달러까지 격차가 매우 컸다.

이중 1천달러 이하를 지불한 경우가 47%로 가장 많았고 1천~1만달러 미만이 36.4%를 차지했으며 1만~5만달러 사이도 13.6%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진단명별 비용은 정신장애인 환자가 46.9%로 가장 많으며 평균 4,290달러를 지불했으며 환자당 최고 6만불을 썼다. 다음은 22.6%인 임신분만 환자로 평균 1,366달러의 비용부담을 떠안았다.

또 순환기계 질환자는 10.6%로 평균 1만5,302달러를 지불했으며 환자당 최고 3만불까지 지불했다. 7.6%를 차지한 악성 신생물 환자의 경우 평균 3만7천달러를 사용했으며 최고 9만달러까지 지불했다.

처치 내용별 비용을 비교한 결과 내과적 치료 및 약물요법 환자가 45%를 차지해 가장 많은 가운데 평균 8,252달러에서 최고 6만달러를 지급했다. 또 33.7%인 각종 임상검사는 1인당 평균 5,521달러를 , 최고 6만달러까지 부담했다.

수술의 경우 9.6%로 나타난 가운데 평균 2만7,537달러로 내과적 치료나 검사에 비해 월등하게 많으며 최고 9만달러까지 지급한 환자도 있었다.

입원환자의 비용을 보면 환자당 평균 3만2,469달러를 지불했으며 2,300달러부터 최고 15만 달러까지 지불했다. 2만~6만달러 미만까지가 37.5%로 가장 많고 다음은 5천~2만달러 미만(35.2%)이었다.

구체적으로 악성 신생물 환자가 36.3%로 전체 환자의 3분의1을 차지한 가운데 환자당 6만2,112달러였고 최소 1만달러서 최고 15만달러까지 비용을 부담했다.

악성 신생물 다음으로는 내분비 대사질환자로 21.9%를 차지한 가운데 환자당 평균 7,225달러의 비용이 지출됐고 최고 5만달러까지 부담을 안았다.

처치별로는 수술인 경우 환자당 평균 5만3,858달러에서 최고 15만 달러로 나타나 해외 진료 비용중 가장 많으며 치료 및 약물 용법은 평균 3만2,944달러서 최고 10만달러를 기록했다.



메디게이트뉴스 박진규기자 (pjk914@medigatenews.com)


Share this